실업급여 인터넷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경제가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회사가 폐업을 하거나 직장에서 퇴사를 하시는 분들이 점점 늘어나고 계시다고 하는데요. 그에 따라서 실업급여에 대한 관심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알아보시는 분들도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라고 합니다. 아래의 글을 끝까지 읽어보신다면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방법,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모의계산 등의 정보에 대해서 쉽고 빠르게 알고 가실 수 있으니 꼭 끝까지 글을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방법

 

 

실업급여를 직접 노동부를 방문하지 않으시더라도 집에서 편리하게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시는데요. 준비물은 2가지가 필요한데 컴퓨터와 공동 인증서, 간편 인증 등의 온라인에서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만 있으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실업급여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시면 되는데 제가 준비하였으니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실업급여 홈페이지 바로가기

 

실업급여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신 후에 로그인에서 개인을 선택을 해주시고 공동 인증서, 간편 인증 등의 수단 중에서 자신이 준비한 인증 수단으로 로그인을 해주세요.

그리고 다시 실업급여 홈페이지 첫 화면으로 돌아오셔서 중간에 위치한 메뉴에서 실업급여,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 메뉴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그다음에 나오는 화면에서 실업인정 1페이지 내용을 상세하게 확인을 해주신 후에 여기서부터 자신의 개인 정보가 잘 입력이 되어있는지를 확인을 해주시면서 예/아니요로 선택을 해주시면 된다고 합니다.

 

 

이 메뉴에서는 실업급여 소정 급여 일수와 수급기관, 구직급여 일액, 수급기간 만료일 등과 관련된 실업급여 수급에 대해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요소들이 상세하게 안내되어 있으니 꼭 천천히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실업급여 모의 계산기 바로가기

 

그리고 제일 아래에 있는 실업 크레디트 신청을 희망하는지 여부를 결정해서 선택해주시면 되는데 실업 크레디트이란 실업급여를 납부하는 기간 동안에 나라와 내가 돈을 합쳐서 국민연금을 납부하는 것으로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에도 국민연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복지의 일환으로 상당히 유용한 제도라고 합니다.

01234567891011121314

그다음에는 재취업 활동에서 구직활동 내역을 추가할 수 있는데 여기서부터가 본격적으로 실업인정 신청서를 작성하는 개념이라고 하는데요. 우선은 금지되어 있는 실업급여 부정수급가 관련되어 있는 내용에 모두 동의를 해주셔야 하고 그 후에는 그동안 내가 구직활동을 한 내역을 첨부를 해야 인정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구직활동을 한 날짜나, 사업장, 담당자, 이메일 등을 제출을 하셨다면 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등과 더불어서 자신이 어떻게 구직활동을 해왔는지를 상세하게 적어주시면 된다고 합니다.

 

 

만약 구직활동을 원활하게 진행을 하실 수 없는 경우에는 직업훈련수강이나 취업성공 패키지, 일자리 희망 프로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회 봉사 활동, 취업상담 등의 구직활동 외의 활동으로 구직활동을 한 것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셔서 진행하시면 된다고 합니다.

01234567891011121314

그중에서도 취업특강 온라인의 경우에는 수강할 수 있는 강의만 남아계시다면 전회차가 구직활동 외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이점을 기억하시고 활용을 하신다면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아쉽게도 이전까지는 유튜브 시청 교육이 구직활동 외의 활동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었으나 현재는 인정을 받을 수 없다고 하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해당되는 사항 등에서는 입력을 해주시고 회사에 이력서를 낸 파일이 있으시거나 증명서를 첨부를 해주신다면 실업인정 신청서를 저장을 해주신 후에 등록을 해주시면 인터넷 실업인정 신청이 완료가 된다고 합니다. 그 후에 실업급여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신청이 정상적으로 접수가 되었는지를 꼭 확인을 해보시기를 바라며 실업급여를 신청하실 때 등록하셨던 번호로 문의를 하셔서 접수가 잘 되었는지 한번 더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깔끔하고 좋을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01234567891011121314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확인  (0) 2022.02.04
직불금 신청자격 확인  (0) 2022.02.04
농지연금 가입조건 확인  (0) 2022.02.03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0) 2022.02.03
노령연금 수급자격 조회  (0) 2022.02.02

+ Recent posts